crossorigin="anonymous">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45 Page) google-site-verification=mwk8AB3OMhmfNjS95pwoWR2ZGPS--Yu8qsHNkNXx1k0
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82

가장평범한것이위대한이유 가장 평범한 것이 위대한 이유, 태상유지(太上有之) 가장 좋은 것은 있는 것만 안다는 뜻이다. 太 : 클 태 上 : 위 상 有 : 있을 유 之 : 갈 지 노자(老子) 태상(太上)의 사전적 의미는 가장 뛰어난 것 또는 천자(天子) 라고 한다. 세상은 높아지려고 하면 낮추고 앞으로 나가려면 뒤로 물러나라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도덕경에 노자는 역발상의 관점에서 리더를 말하고 있다. 노자는 리더를 4가지 등급 으로 나누고 있다. 가장 높은 단계는 유지(有之)의 리더이다. 최고의 리더는 부하들이 지도자가 '있다'는 정도만 느끼게 하는 리더라는 것이다 리더가 있어도 그의 무게를 느끼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그 밑은 예지(譽之)의 리더 이다. 부하들이 늘 칭찬하는 리더이다. 그러나 그 칭찬은 언제든 비난으로 .. 2022. 12. 28.
자연의원리를인간이배워야하는이유 사랑이란 이름으로 간섭하지 말라.(도덕경(道德經) 사랑한다는 이유만으로 상대 방을 간섭하고 자신의 의도를 강요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상대방에 대한 나의 간섭과 강요가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되면서 아무런 거리낌 없이 행동으로 옮겨지게 되는 것이죠. 노자의 도덕경에는 사랑이란 이름으로 간섭하지 말라고 하면서 천지불인 (天地不仁)이라는 개념을 제시 한다. ‘하늘(天)과 땅(地)은 어질지 (仁) 않다(不)’는 말로 저 하늘 과 땅은 그 안에 존재하는 모 든 만물에 대하여 사랑이란 이름으로 간섭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하늘이 비를 내리고, 계절을 바꾸는 것이 어떤 사 랑의 목적으로 하는 행위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저 때가 되면 비가 내리고, 계절이 바 뀌는 것이 자연의 당연한 이 치일 뿐, 어떤 인간 에 대한 .. 2022. 12. 27.
행복하게하는것,이용의미학 잘 쓰고 가는 것이 인생이다. 이용의 미학, 도덕경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말 중 에 이용이라는 단어가 있다. 이로울 이, 쓸 용 전혀 다른 두 가지 뜻이 합해 져서 정말 아름다운 말이 되 었다. 물건을 잘 이용한다거 나 돈을 잘 이용하여 많은 사 람들을 행복하게 하는 것은 이 용의 좋은 의미이다. 이는 이익이다. 기업이 추구하는 이윤이나 투자가 몰두하는 이 익은 모두 벌어들인다는 뜻이 다. 돈을 많이 버는 것은 일을 얻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용은 사용한다는 뜻이다. 벌어들인 돈을 얼마나 잘 쓰느냐가 용 이다. 용도에 맞게 모든 사람 들이 행복하게 돈을 쓰면 용 을 잘하는 것이다. 잘 벌고 잘 쓰는 것, 이것이 용의 뜻이 다. 이용에 대하여 철학적으로 가 장 먼저 정의한 사람은 노자 였다. 노자는 이와 .. 2022. 12. 26.
버림의미학,비우고채움,배움과도 비우고 채움, 배움과 도, 버림의 미학 위도일손(爲道日損) 도덕경(道德經) 채우는 것만큼 어려운 것이 비우는 일이라고 합니다. 어쩌면 비우고 버리는 것이 채우고 쌓는 것보다 더 어려 울 수 있습니다. (노자) 48장에는 배움과 도에 대하여 이렇게 말합니다 ‘배움(學)의 목표는 날마다 새 로운 것을 채우는 것이다. 도(道)의 목표는 날마다 이미 가지고 있는 것을 버리는 것이다. ’ 날마다 버리는 것(日損 ), 이것이 진정 도를 행하 는 방법이라는 것입니다. 노자의 ‘버림의 미학’은 기존 의 채움의 사회질서에 대한 새로운 가치의 혁신이었습니 다. 노자가 살던 시대의 사람들이 추구했던 것은 창고를 채우고, 땅을 넓히고, 지위를 높이고, 권력을 높이기 위한 ‘채움’의 무한경쟁이었습니다. 오늘날 우리가 사는 모습.. 2022. 1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