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origin="anonymous"> 한복의 색이 주는 의미가 따로 있다 google-site-verification=mwk8AB3OMhmfNjS95pwoWR2ZGPS--Yu8qsHNkNXx1k0
본문 바로가기
전통문화

한복의 색이 주는 의미가 따로 있다

by 전통놀이채애현 2025. 3. 1.
728x90
반응형

한복의 의미
한복은 우리나라의 고유한 멋을 간직한 전통의상이다.
오늘날에는 결혼식이나 팔순 잔치 등의 특별한 날 외에는 한복을 착용 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다 보니
우리 옷인 한복을 바르게 입는 방법 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한복체험에서 연세가 지긋한 어르신이 오셔서 당연히 한복을 잘 입을 줄 알았는데  고름을 잘 매지 못하는 것을 보았다.
이와 같이 우리 것을 찾지 않으면 익숙한 것도 잊어버리고 사라질 것 이다.
한복 입는 법을 제대로 알았으면 바램이다.


아름다운 한복의 멋은 곡선과 직선 에 있다.
넉넉함은 배려의 옷이라고도 한다.
한복은 나이에 따라 색상도 다르게 입었다.
예를 들면
결혼한 신부에게 녹색 저고리에 다홍치마의 녹의홍상을 입었다.
붉은색 치마는 정열과 함께 잡귀를 막는다는 의미를 가졌고, 연두저고리는 자연의 색으로
건강함과 넓은 마음을 상징한다.
어린아이들은 색동저고리를 입었다
노랑색 저고리와 다홍치마는 미혼 여성의 옷을 뜻한다.  
아이를 낳은 여성은 노랑색 저고리에 남색치마를 입었다. 또 중년 여성의 경우 옥색과 자색의 저고리에 남색 치마를 입었다.
자주색 고름은 남편이 살아있다는 뜻이다.
청색 끝동은 아들을 낳았다는 의미 를 담고 있다. 
저고리와 치마 색뿐만 아니라 끝동 과 고름의 색을 보아도 그 사람의 상황을 알 수 있었다.

한복 저고리나 두루마기의 양쪽 앞부분에 달려 있어 옷이 벌어지지 않도록 묶는 끈이 고름이다.
한복에는 고름 외에 흰색 작은 고름 이 달려있는 것도 볼 수 있는데 이는 시집간 여자들이 눈물을 닦기 위해 만든 '눈물고름'이라는 속설도 있다.

또한 여성 한복의 경우 속옷을 여러 겹 입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몸을 따뜻하게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남자한복의 바지에 묶는 대님 또한 바람이 들어가지 않도록 몸을 따뜻 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원삼은 왕비부터 일반 서민들이 입 을 수 있는 예복이었다. 궁중에서 왕비, 세자비, 세손비의 소례복으로 사용되었고 서민들은 혼례를 할 때에 입을 수 있었다.
결혼할 때 입는  원삼은  왕비부터 서민들이 입은 옷이 다르다. 원삼은 황후를 위한 황원삼, 왕비는 홍원삼, 비빈은 자적 원삼, 공주나 옹주, 반가부녀자는 초록 원삼을 입었다. 원삼에 그려진 무늬 또한 신분에 따라 달랐다.

신부의 원삼에는 색동이 들어가는 데 색동무늬의 옷은  좋은 날 길한 날 입는 옷으로,
첫돌에도 색동저고리를 입혔다.
명절의 때때옷, 설빔에도 색동옷을 준비한 부모들도 있었다.

혼주의 한복은 색이 다르듯 옷색깔 이 다르다.
신부어머니는  붉은, 분홍계열의 색 을 입는데 속설에는 딸을 시집보내 는 것이 분하여서,
신랑어머니는 서슬이 퍼렇다고 푸른색 계열의 한복을 입는다. 바다처럼 넓은 마음을 품어라는 뜻도 있다.

바르게 한복 입는 법
버선 → 속바지 → 속치마 → 치마
→ 적삼 → 저고리 (배자 또는 두루마기)

전통방식의 버선은 시접의 방향을
통해 왼발과 오른발을 나누어 착용 했다.
수눅이 오른쪽으로 가도록  신는다.
요즘에는 편안하게 착용 가능한 버선의 경우 시접의 방향이 같아서 따로 구분하지 않는다.
 

1. 속옷 입기
한복을 맵시 있게 입으려면 속옷을 반드시 갖추어 입어야 한다. 속옷은 옷맵시뿐 아니라 땀의 흡수도 도와 준다.
요즘은 속옷으로 속바지를 짧게 입 고, 다음에 버선 목까지 오는 긴 바 지, 계절에 맞게 솜바지, 누비바지, 고쟁이 등을 입는다.
속치마는 겉치마 보다 2~3cm쯤 짧으면 된다.
속치마는 너무 부풀리지 않고 전통 속치마를 입는 것이 더 우아한 느낌 이 든다.

2. 버선신기
버선을 신을 때 주의할 점은 수눅(꿰맨 솔기)이 중앙을 마주 보도록 기울어지게 신는 것이다.
오른발은 왼쪽으로 왼발은 오른쪽으로 가도록 양쪽으로 잘 잡아당겨 신는다. 

3. 치마 입는 방법
1) 치마의 겉감과 안감을 확인한다.
2) 왼쪽 어깨끈에 왼팔을 넣는다.
3) 오른손으로 왼쪽 치마끈을 잡고
오른쪽 어깨끈을 통과한다.
4) 끈은 치마 중심에서 한쪽으로 단단하게 묶어준다.
5) 치마 끝자락이 왼쪽으로 위치했는지 확인한다.

4. 저고리와 고름매는 법
 1. 속저고리와 저고리를 입는다.
2) 고름을 맨다.
짧은 고름을 올려 한번 묶는다.
3) 묶은 짧은 고름으로 고를 만들어 준다.
 긴 고름을 고 속으로 넣어 고름을 완성시킨다.


우리의 옷 한복 입는 법과  색상이 주는 의미를 알아보았다.
아름다운 우리 옷 한복을 널리 알리 며  전승 발전에 도모하고자 한다.
감사합니다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