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origin="anonymous"> 전통놀이의 특성,제기차기 google-site-verification=mwk8AB3OMhmfNjS95pwoWR2ZGPS--Yu8qsHNkNXx1k0
본문 바로가기
전통문화

전통놀이의 특성,제기차기

by 전통놀이채애현 2024. 4. 10.
728x90
반응형

전통놀이의 특성
놀이는 재미가 있어야 한다.
재미가 없으면 놀지 않는다.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서만 한다고 볼 수 없다.
우리나라의 전통놀이는 연중 어느 때나 볼 수 있었다.

오락은 여러 가지 예능이나 구경거리 등을 보고 들음으로써 즐기는 것인데 별반 노력을 동반하지 않고 수동적으로 심리적으로 즐기는 것이 대부분이다.

놀이는 시기가 다르나 장소의 변화는 거의 없다.
넓은 의미의 놀이는 놀이와 겨루기, 운동이 포함된다.
놀이는 비 생산적이며 자유롭게 즐거움을 추구하는 인간의 기본활동이다.
겨루기는 놀이와 경쟁성이 있다.

놀이는 계절별로 분류가 가능하
다. 또는 나이나 성별, 사람수, 놀이목적에 따라 구분이 가능하다.


¤ 제기차기 놀이를 소개한다.

ㅡ땅제기(개칙구 차기) : 한 발은 땅을 딛고 다른 발은 땅에 댔다 뗐다 하면서,  발 안쪽 모서리로 차는 방법으로 제기차기의 가장 기본이 된다.

ㅡ헐렁이(발 들고 차기): 한 발은 땅을 딛고 다른 발은 땅에 닿지 않게 든 상태에서 계속 찬다.

ㅡ양발차기 :오른발, 왼발을 번갈아 가며 차는 방법으로, 양발 안쪽으로 차거나 한 발은 안쪽, 한 발은 바깥쪽으로 찬다.
                 
ㅡ물기 : 차올린 제기를 입으로 받아서 물어야 한다.

ㅡ머리에 얹기 : 차올린 제기를 머리 위에 얹는 방법이다.

ㅡ등에 얹기 : 차올린 제기를 등으로 받아 올려놓아야 한다.

ㅡ거리제기(멀리차기) : 정해진 수까지 차고서 마지막에는 발등으로 멀리 찬다.

ㅡ뒤꿈치 차기 : 한 발로는 발목 안쪽 모서리로 차고, 다른 발로는 뒤꿈치로 찬다.

ㅡ주고받으면서 치기 : 접시(판)를 이용하거나 발로  상대방과 치기를 하면서 놀 수 있다.

ㅡ머리에 제기를 올리고 반환점 돌아오기

ㅡ협동제기 : 보자기 또는 파라슈트를 이용하여 함께 위로 올리면서 함께 치기 놀이

제기는 발로만 차고 놀았는데 지금은 신체나 도구를 활용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놀 수 있다.

전통놀이, 제기차기는 실내외 모두가능ㅎㄱㆍㄷㄱㆍㅂ군인들과 인성교육에서 많이 활용했다.
협동제기는 발로 주고받거나 팀이 정한 개수만큼  차며 놀기도 재미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