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예(六藝)는 《주례(周禮)》에서 이르는 여섯 가지 기예를 가리키는 말이다.
6 예는 예(禮), 악(樂), 사(射), 어(御), 서(書), 수(數)이며, 이는 각각 예학(예법), 악학(음악), 궁시(활쏘기), 마술(말타기 또는 마차 몰기), 서예(붓글씨), 산학(수학)에 해당하는 것으로
반드시 가르쳐야 할 여섯 가지 교과목이다.
예:예법
악:노래 악기 춤
사: 활쏘기 자기 수양
어: 말타기
서: 글자 익히기 쓰기
수: 셈하기
'악, 어, 사'는 놀이와 관련 있다.
여섯 가지 교육내용은 인간과 사물의 조화로운 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지식과 훈련들로 이루어져 있다.
‘예’는 관혼상제(冠婚喪祭) 등을 규정하는 예법으로 서, 다른 사람과의 인격적 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실천을 말한다.
‘악’은 음악과 춤 그리고 시가(詩歌)를 포함하며 음의 관계에 대한 감각을 바탕으로 몸과 마음을 조화롭게 하려는 것이다.
‘사’는 궁술(弓術)로서, 창과 검을 사용하는 무술보다 는 자신의 몸에 집중하는 무술이다. 그리하여 신체훈련 에서 벗어나 사례(射禮)로 형성된다.
‘어’는 말타기에 적은 존재하지 않으며 인간이 말이라 는 유기체와 최대한 소통하여 혼연일체가 되지 않으면 불가능한 기예이다.
‘서’는 서도(書道), 글쓰기 및 글자 익히기 교육으로 우수한 인재를 배양하기 위한 일차적인 도구이다. ‘수’는 수학(數學), 수와 양의 법칙으로 실제생활에 서 다방면에 사용하는 인식과 실천의 도구이다.
공자는 제자들에게 “도와 덕에 기반을 두고 인을 실천하되 육예(六藝:禮예·樂악·射궁술·御승마·書서예·數수학)를 통해 낭만적인 풍류도 배제하지 말라”라고 했다. 즉 도에서 뜻을 세운 후 덕을 실천해 인을 널리 베푸는 데 그치지 말고, 성정을 도야하기 위해 아침저녁으로 육예를 생활화하는 것을 잊지 말도록 역설했다.
‘육예’ 교육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오늘날 사회에서 ‘예’ 교육을 중심으로 심성을 계발하고, 정서를 도야하며, 도덕성을 함양하는 데에 참고가 될 것이다. 관계와 소통을 중시하면서 지식과 더불어 신체와 마음도 조화롭게 발달 시 키기 위해서는 육예의 의의를 새겨볼 필요가 있다.
육예는 고대 동양에서 인재가 갖추어야 할 기본 소양으로 예법·음악·활쏘기·말달리기·글씨 쓰기·셈하기 등의 6가지를 말한다.
조선시대 선비를 선비답게 했던 육예 기본 교육은 신문물이 시작되는 갑오경장 이후로 자취를 감추었다. 사회에서는 구성원들 간의 소통은 어느 시대에나 필요 하다고 본다. 육예는 자라나는 청소년과 신입사원뿐만 아니라 성숙하지 못한 성인들에게도 필요한 덕목이다. 전통문화 공간에서 시행하는 전통놀이 체험이나 예절 수업은 인격수양에 꼭 필요하다. 전통문화의 체험은 한국문화를 알리는데 문화적 자부심 을 느끼게 한다.
동양의 전통 교과목을 계승하며 상대방에 대한 존중과 배려를 일상에서 깨닫게 할 수 있다.
전통놀이는 타인을 배려하고 존중하며 협력하는 공동체를 실천할 수 있다.
투호놀이는 왕실이나 종친, 사대부중심 놀이의 놀이.
화목, 위계질서유지를 중시했다. 서민들에게 전의 된 놀이 중 하나이다.
죽궁체험은 심신수련에 좋은 놀이다.
다산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이 저술한 『경세유표經世遺表』에서 다산 선생은 선비나 유생들이 글만 읽는 것이 아니라 심신과 육체의 단련도 게을리하지 않아야 한다 즉 공자의 기본 교육 과목인 육예를 갖춰야 한다고 했다.
선비의 삶과 정신을 체험하고 배우면서 육예는 현대인 들의 심리치료와 육체적 힐링 및 인성을 함양하는 프로그램으로 손색이 없다. 조선 선비들이 꼭 갖춰야 할 덕목, 육예(六藝)의 선비 체험’은 많은 사람들에게 힐링하는 시간이 될 것이다.
한국문화, 전통놀이체험으로 행복하고 건강한 날 보내세요.이
감사합니다.
‘5가지의 선비 체험’의 주요 내용으로는 ▷부모님, 선생님, 웃어른, 친구에 대한 생활 속의 전통 예절교육 ▷한국 전통 음악 공연 감상 및 악기 연주 체험 ▷옛 선비들의 활 문화 및 호연지기를 체험하는 활쏘기 체험 ▷조선시대 이동수단 및 무의 상징인 승마 체험 ▷부모님이나 선생님에게 글쓰기를 통해 소통하며 힐링할 수 있는 상소문 쓰기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됐다.
'전통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문화,세시풍속,씨뿌리는시기 (21) | 2023.03.07 |
---|---|
한국문화,한복의아름다움 (32) | 2023.02.21 |
정월대보름의세시풍습,보름달의의미와조상들의지혜가있는이유 (22) | 2023.02.04 |
아리랑,아름다운고운님,그리운님,한국의전통민요 (13) | 2023.01.28 |
덕담을하는이유 (24) | 2023.0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