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origin="anonymous"> 다올채전통놀이 google-site-verification=mwk8AB3OMhmfNjS95pwoWR2ZGPS--Yu8qsHNkNXx1k0
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80

전통놀이의특성및가치 놀이란? play, 유희(遊戱) 즐거움을 얻기 위한 자발적 활동이다. 물질적 보상, 대가를 바라지 않는 행위로 노동이나 일과 구별된다. 놀이의 특성 및 기능 놀이는 아동의 신체발달과 대인관계의 사회성 발달에 도움을 준다. 생활 안에서의 새로운 발견, 창조를 가능하는 창의력이 발달된다. 자신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능력도 생겨 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도구이다. 놀이의 가치나 기능은 아동의 신체발달, 사회성 , 창의성 , 인지발달, 정서발달을 촉진하며 전인적인 영향을 준다. 전통놀이의 의의 전통놀이는 즐거움을 주어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다. 공동체 의식을 키워준다. 사고를 발달시키고 언어발달을 촉진한다. 사고발달을 촉진하며 인지 및 창의적인 표현능력을 기른다. 놀이의 규칙을 규범을 배우고 배려와 협동, 책임,.. 2022. 11. 12.
하늘은착한사람을돕는다 . 하늘은 착한 사람의 편에 선다. 천도무친天道無親 ㅡ 도덕경 天道無親, 常與善人 천도무친, 상여선인이란? 하늘의 뜻은 편애하는 일 없이 언제나 착한 사람의 편에 선다'는 뜻으로 천도무친(天道無親) 노자 도덕경의 한 구절이다. 하늘의 참된 도는 늘 한결 같이 착하게 살아가는 이들 에게 인을 베푼다고 한다. (하늘은 착한 사람의 편에 선 다.) 천도무친(天道無親) -도덕경- 도덕경에서 말하기를 어떤 사람의 행복과 불행은 오로지 그 사람이 어떻게 사느냐의 마음가짐에 달려 있다고 한다. 선하게 사는 사람이면 누구에게나 좋은 일이 일어날 뿐 특별히 어떤 사람에게만 복을 주거나 좋은 일이 일어 나게 하는 것은 아니다. 행복과 불행 이란 그저 그 사람이 어떻게 살고 있느냐에 달려 있다. 특별히 누구를 편애하거나 좋아해.. 2022. 11. 10.
인생의중요한철학 인생의 중요한 철학,과욕,맹자격언 욕심을 줄이면 행복이 커진다. 과욕 (寡欲), 맹자(孟子) 맹자(孟子) 진심하(盡心下) 35장 맹자왈 양심(孟子曰養心) 1절 “마음을 수양하는 데는 욕심을 줄이는 것보다 더 좋은 것이 없다. 그 사람됨이 욕심이 적으면 비록 선한 마음을 보존하지 못하는 일이 있더라도 그것이 적을 것이며, 그 사람됨이 욕심이 많으 면 비록 선한 마음을 보존하 고 있더라도 그것이 적을 것이다.” -맹자- 맹자왈(孟子曰) 양심 (養心)이 막선어과욕(莫善於寡欲)하니 기위인야과욕(其爲人也寡欲)이면 수유불존언자 (雖有不存焉者)라도 과의(寡矣) 오 기위인야다욕(其爲人也多欲)이면 수유존언자(雖有存焉者)라도 과의(寡矣) 니라 사람의 욕심이 넘치지 않고 적절하면 약이 되지만 지나치면 인생을 망치는 독(해).. 2022. 11. 10.
위기속에힘을발휘하는사람 위기 속에 힘을 발휘하는 사람 세월이 추워져 봐야 잣나무와 소나무가 가장 늦게 시든다는 것을 알 수 있다.(논어) 이 구절은 평소 여름철에는 모든 나무가 무성하고 푸름을 뽐내어서 추운 겨울이 되어야 그 나무의 진면목을 알 수 있다는 뜻이다. 푸름을 뽐내며 잎이 무성해 던 나무들도 겨울이 되면 그 잎이 떨어지는데 잣나무와 소나무는 여름의 푸른 나무속에 보이지 않아도 추운 겨울을 견디며 푸르름을 잃지 않는다는 것이다. 사람 또한 어려움을 당해 봐 야 옥석이 가려진다. 어려운 상황을 견뎌내는 사람이 진정 생존력이 강한 사람이다. 나를 먼저 알아가고 내가 잘하는 것을 찾아 꾸준함으로 승부를 한다면 우리의 미래는 밝을 것이다. 사시사철 소나무의 푸르름처럼 한결같은 마음으로 일을 하다 보면 진정한 자신의 가치를 발.. 2022. 1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