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origin="anonymous"> 행복해지는방법 google-site-verification=mwk8AB3OMhmfNjS95pwoWR2ZGPS--Yu8qsHNkNXx1k0
본문 바로가기
책리뷰

행복해지는방법

by 전통놀이채애현 2022. 11. 6.
728x90
반응형

욕심을 줄일수록 행복은 커진다

갈등과 분쟁을 일으키게 하지 않는 방법 중에 하나가 욕심을 줄이는 것이다.

욕심을 줄일수록 행복은 커진다

공호이단(攻乎異端)
논어(論語)

나와 생각이 다르다고 공격하고 무시하면 손해가 되어 돌아올 수 있다.

공호이단사해야이(攻乎異端斯害也已)

나와 다른 생각에 대하여 공격하면 이것은 손해가 될 뿐이다.’라는 뜻이다.

‘이단(異端)’이라는 단어는 ‘논어’에서도 찾을 수 있다. 나와 다른 쪽에서 있다는 이유만으로 상대방을 공격하고 배척한다면 결국 자신에게 해로운 결과가 되어 돌아올 것이라는 의미이다.

나와 다른 생각, 종교, 사상, 철학을 가졌다는 이유로 상대를 공격한다면 불행을 초래할 수 있다. 사람마다 생각과 관점이 다름을 인정해야 한다. 다름을 인정하는 사회, 화합을 이루어 내는 문화는 아름다운 사회가 될 수 있다.

자신과 다른 생각을 가졌다는 이유만으로 남을 시기하며 질투로 공격하고 있지는 않는가?

攻(공격할 공)
乎(-에 대하여 호)
異(다를 이)
端(끝 단)

이단이란 그릇된 학문과 사상을 의미하는 뜻이다.
<논어> ‘위정’에 나오는
‘공호이단 사해야이’, 즉 ‘나와 다른 쪽에 서 있다는 이유만으로 상대방을 공격하고 배척한다면 자신에게 해로운 결과를 가져올 뿐’이다. 남과 다름을 배척하는“이단(異端)에 대한 공격과 강요가 결국 심각한 갈등과 분쟁을 가져올 수 있다.

자기의 생각만이 정통이고 자기와 다른 남의 생각은 이단이라고 몰아 부치는 것은 좋지않으므로 삼가해야 한다.

공자는 "남이 자기를 알아 주지 않는 것을 걱정하지 말고 자기가 남을 알아보지 못 하는 것을 걱정하라"고 한 사람이다. 그런데 어떻게 자기의 생각만이 정통이고 자기와 다른 남의 생각은 이단이라고 몰아 붙일 수 있겠는가. 또 공자는 학문의 목적은 어디까지나 "자신의 완성"을 위한 것이며, "자신의 변혁"을 통해 다른 사람을 포용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단(異端)은 성인(聖人)의 도(道)가 아닌 별개의 한 갈래를 이룬 사상을 말한다.
공(攻)은 다스리다는 의미니  이단을 일삼으면 해로울 뿐이니 삼가라는 경계의 의미다.

오늘날도 많은 이단(異端)이 선량한 사람들을 유혹한다. 현대의 이단은 어는 종교 어느 종파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섭리를 벗어나 인간의 존엄성을 헤치고 인간의 행복을 파괴하는 집단을 말한다.

세상이 혼란하면 혹세무민
(세상을 어지럽히고 백성을 속임)하는 사람이 판을 친다.
그릇된 이론이나 믿음을 이용해 사람들을 속이고, 그들을 이용해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모습을 가리킨다. 잘못된 길로 사람들을 이끄는 사이비(似而非) 종교 교주, 그릇된 주장을 펼치고 사실을 왜곡하는 거짓 학자, 정치가, 언론인 등이 모두 혹세무민하는 자들이라 할 수 있다. 혹세무민(惑世誣民)하는 이단이 기승을 부린다.

우리민족은 종교심이 강한 민족이다. 새벽기도를 하는 나라이다. 심약한 사람들을 이단에 미혹될 위험성이 높다 인간에게 내세의 복을 앞세워 무작정 희생과 불행을 강요하 는 것은 이단이다.

남에게 해를 끼치거나 인류에게 위해가 되지 않는 한 서로 다름을 인정해야 한다. (논어)

나만의 생각과 판단이 옳다고 주장하는 순간 나와 다른 모든 것들이 이단으로 여겨 지고 그 결과는 갈등과 분쟁 폭력과 전쟁이라는 참담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자기만이 옳다고 생각하고 다른 남의 생각은 이단이라고 치부하는 것이 해롭다고 이야기를 하였다.

쉽고 편리한 방법을 쫓아 옳지 못한 방법에 매진하는 것도 결국 나쁜 습관으로 인해 해롭게 된다. 누구나 자기의 생각이 정통이고 옳은 방법이라 생각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 아닐까 생각한다.

나의 것만 옳다고 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 올바르지 못 한 방법을 선택하여 결국 나쁜 길로 빠지지 않도록 경계하고, 다름을 인정하는 관점으로 위대한 화합을 이루어 갈등과 분쟁이 사라지는 행복한세상은 욕심을 버리는데서 비롯됨을 인지한다.

내입장에서 아닌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하자. 욕심을 버리자.  건강하고 행복한 삶이 된다. 소통은 화합을 이룬다.
인생은 공수래 공수거라는 것을 기억하라.





반응형

'책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천하는자가되라  (2) 2022.11.08
부의평범한진리  (2) 2022.11.07
좋은충고의지혜로운삶  (3) 2022.11.05
문제를회피하면생기는3 일  (4) 2022.11.04
부자가되는법  (2) 2022.11.0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