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삼,활옷의 혼례복은 어떻게 입는가?
전통혼례복 바르게 입는 방법
여자 전통혼례복의 종류에는
장삼과 활옷이 있다.
* 활옷은 파란 스란치마와 같이 입는다.
1. 스란치마와 노란 저고리를 입고 겉에 활옷을 입는다. 가슴에는
붉은 대대를 묶는다.
활옷을 입고 나서 대대는 가슴 위로 바짝 매듭 있는 곳까지 올려서 하루핀으로 고정을 하고 뒤로 대대를 보내 묶은 다음 한번 더 대대를 갚는다.
2. 족두리를 쓴다.
머리는 묶고 망으로 다시 묶는 다음 쪽을 하는데 긴 비녀를 쪽에 꽂는다.
족두리의 수술이 이마에 닿도록 하고 족두리의 고무줄로 긴 비녀 양쪽으로 돌려 묶는다.
3. 앞댕기 하기
앞댕기를 쪽에 얹고 양쪽 길이를 맞춘 다음 두 번 돌려 모양이 앞으로 보이도록 댕기를 보낸다.
4. 뒷댕기의 끝에 머리핀을 꽂아 족뚜리 뒤를 살짝 들고 고정을 한다.
뾰족한 부분의 양옆에 머리핀으로 단단하게 다시 고정하고 나서 마지막으로 연지곤지를 찍으면
신부의 복장은 완성된다.
*원삼 ㅡ도투락댕기, 화관 앞댕기,
뒷댕기, 도투락댕기,
1. 스란치마를 입고 노란 저고리를 입는다. 그 위에 활옷을 입는다. 대대는 앞가슴까지 올리고 하루핀으로 고정을 한다. 뒤로 보낸 대대는 한번 묶고 돌려 끼워 단단하게 고정한다
2. 머리에는 화관을 씌운다.
먼저 쪽에 긴 비녀를 꽂는다.
화관을 쓰고 화관의 고무줄로 양쪽 비녀에 두세 번 감는다. 앞댕기를 쪽 위에 얹고 길이를 맞춘 다음 양쪽 비녀에 두 번 감아 앞으로 넘긴다.
화관의 뒤를 살짝 들고 뒷댕기인 도투락댕기를 머리핀으로 고정한 다.
마지막으로 연지곤지를 찍는다.
남자 혼례복
ㅡ남자는 바지와 저고리를 입고 곤룡포를 입는다.
ㅡ머리에는 망건을 하고 그 위에 사모를 씌운다.
ㅡ대대는 양쪽 겨드랑이 밑 고리에 끼우고 앞에서 버클을 닫는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평상시 입기 힘든 전통혼례복을 시민들에게 입혀주는 시간을 가졌다. 원삼과 활옷을 입혀주니 모두가 함박웃음을 지었다.
남자는 곤룡포에 사모관대를 했다.
우리나라의 고유한 옷
한복을 많이 사랑하고 성인들은 저고리의 고름매는 법 정도는 알았으면 한다.
치맛자락도 왼쪽인지 오른쪽으로 가는지 헷갈려한다.
직선과 곡선의 미가 있는 것이 한복
은 왼쪽을 중요시한다.
저고리의 고름도 왼쪽, 치맛자락도 왼쪽으로 가도록 입으면 된다.
여자한복 바르게 입기
속치마ㅡ 치마ㅡ 속저고리ㅡ저고리
버선은 수눅이 바깥으로 가도록 신는다.
남자한복 바르게 입기
바지ㅡ 저고리ㅡ조끼ㅡ마고자 (겨울)ㅡ두루마기 또는 도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