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양반놀이,남승도놀이
조선시대,양반놀이의 남승도놀이
여행 좋아하세요? 조선시대도 명승지를 관광하며 놀았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런 놀이는 양반들의 삶에서만 찾을 수 있다. 그것은 유람놀이인 ‘남승도 놀이’를 말한다.
놀이판에는 적을 물리쳐야 하는 전쟁터가 되기도 하고, 명승지나 현실에서 찾아볼 수 없는 무릉도원이 되기도 한다 놀이판은 유희의 도구도 되지 만 사회와 문화를 축소시켜 놓은 판이 된다. 우리의 선조 들은 자녀들에게 명산지의 이름을 익히거나 풍토를 익히 는 방법의 놀이로 사용했다 고 한다.
남승도 놀이는 판에 그려진 명승지를 여행하며 다시 출발 점으로 돌아오는 보드게임의 판놀이다. 가장 먼저 출발점에 도착하는 사람이 승리한다 주사위를 굴려서 나온 숫자만큼 말이 앞으로 나갈 수 있다.
놀이판은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 먼저 장기판처럼 줄을 여러 개 긋는다. 그 뒤 칸의 왼쪽에 불국사, 석굴암 등과 같은 명승지의 이름을 적어 넣는다. 아래쪽에는 1~6까지의 숫자와 옮겨갈 방향도 함께 기재한다.
남승도놀이는 신분’에 따라 놀이에서 누릴 수 있는 혜택 이 다르다. 놀이는 그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한다. 남승도 놀이를 시작하기 전 놀이에 참여한 사람들은 주사위를 굴려 1에서 6까지의 숫자에 따라 시인, 한량, 미인, 어부, 승려, 농부 등 여섯 가지 신분 중 한 가지를 선택한다.
시인이 서울 남산에 도착하거 나, 승려가 불국사에 닿으 면 각 신분과 연관 있는 고장이 라 하여 특권을 누리게 된다. 이 밖에도 승려는 미인이 간 곳에 가지 못하고, 승려가 먼 저 간 고장에 미인이 도착하 면 승려가 다음에 얻은 수를 미인에게 주어 그 말을 보내 도록 했다. 그뿐만 아니라 제주도나 울릉도에서 회오리바람을 만나게 되면 방향을 바꿔돼 돌아가야만 했다.
유배, 교전이라는 함정 칸도 만들어 놀이의 흥미와 재미를 더 했다.
우리의 선조들은 놀이를 학습의 연장으로 생각했다. 오락으로 전국의 지명을 익히게 하여 재미와 교육이라는 두가 지를 동시에 잡은 ‘남승도 놀 이’는 선조들의 생각이 담긴 좋은 예다. 승경도놀이도 관직도표로 선조의 지혜가 전통놀이 속에서 담겨있다.
조선시대 양반놀이를 가족들과 친구, 지인들끼리 놀면서 재미와 즐거움을 찾는 시간이 되기를 바라본다.
전통놀이로 소통하는 행복한 시간으로 건강도 챙긴다.
업무적인 스트레스를 놀이로 날려보면 어떨까?
함께 놀면서 건강도 챙기는 것이 우리의 전통놀이다.
감사한 시간이다.
오늘도 행복하고 감사한 일상이 되기를 바라본다.